본문 바로가기

회계

회계용어 이해하기 :: 기장, 세무기장, 기장대리, 복식부기 뜻

반응형

안녕하세요~달현입니다!

 

Q. 기장, 세무기장, 기장대리.. 다 비슷한 말이라 헷갈려요.

 

이번에는 기본적인 회계용어를 정리해보겠습니다.

 

 

 

 

경리

경리직원을 생각하면 경리라는 뜻이 약간 부정적인 느낌을 받는 경우가 있는데요.

경리(經理)란 경영관리의 줄임말로 어떤 기관이나 단체에서 물자의 관리나 금전의 출납 따위를 맡아보는 사무를 뜻합니다.

회사 운영에 있어서 경영관리는 굉장히 중요한 부분에 속하니 자부심을 가져도 좋을 것 같습니다.



 

기장(帳)

기장이란 '장부에 기록한다' 또는 '장부'를 뜻합니다.

우리가 회사의 매출과 비용 등을 장부로 기록을 남겨두는데요. 집에서 가계부 쓰는 것과 비슷합니다.

차이점은 가계부는 현금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에 맞춰 기록하는 현금주의 방식으로 기록하며

회사에서 장부를 작성하는 것은 현금주의가 아니라 회계원칙인 발생주의에 따라서 장부를 작성합니다.

 

 

회계장부

기업 활동에서 발생하는 회계 상의 거래를 기록, 정리하기 위한 문서로써

대기업의 경우 국제 회계기준에 따라 장부를 작성해서 내부관계자인 경영진이나 직원, 외부관계자인 주주, 투자자들에게 보여줍니다.

중소기업의 경우에도 회계장부를 작성합니다.

 

 

세무기장

 

대기업이나 큰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외부감사를 받기 때문에 무조건 회계 기준에 따라서 장부를 작성해야 합니다.

회계 기준에 따라 장부를 작성 후, 법인세 신고할 때 회계기준과 세무기준의 차이점을 조정합니다.

예를 들면, 가산세나 과태료의 경우 회계상으로는 비용처리되지만 세법상으로는 인정이 안되므로 세법 기준으로 다시 조정해야하는데요.

이것을 세무조정이라고 합니다.

 

즉, 세금신고를 위한 용도로 장부를 작성하는 것이 세무기장입니다.

 

작은 중소기업들의 경우에는 회계원칙에 따라서 장부를 작성한 후, 다시 세무조정을 해서 관리를 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중소기업회계기준에 따라서 세무기준과 회계기준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게 장부를 작성합니다. 실제로 장부를 작성할때 세무조정을 많이 안해도 된다는 것입니다.

 

 

 

기장대리

회사에서 직원을 두고 자체적으로 장부를 작성할 수도 있지만,

경리직원을 뽑기 힘든 회사이거나, 또는 경리직원이 있더라도 내부적으로 작성한 장부를 신고하는데 이용하기 힘든 경우에는 세무대리인에 맡기게 되는데 이것을 기장대리라고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2022.01.24 - [회계] - Q. 사업자를 내면 기장을 꼭 해야하나요? 언제 해야하나요?

 

Q. 사업자를 내면 기장을 꼭 해야하나요? 언제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달현입니다! 이번에는 사업자라면 무조건 기장을 해야하는지, 해야한다면 언제 해야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법인사업자의 경우 예외없이 무조건 기장의무가 있습니다. ▶ 개인

mhyun8.tistory.com

 

2022.02.15 - [알쓸신잡] - 업태, 업종을 잘 선택하면 세금절세가 가능하다.(업종별 기장의무, 경비율)

 

업태, 업종을 잘 선택하면 세금절세가 가능하다.(업종별 기장의무, 경비율)

예전에 학원을 세우는 일을 도와준 적이 있었습니다. "사람들 눈에 확 들어 올 만한 학원 이름이 뭐가있을까?"라며 엄청 고민을 많이 했었습니다. 상호명도 중요하긴 하지만 세금 면에서 중요한

mhyun8.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