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합소득세

유튜버 수익도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 (2025 꿀팁 포함)

반응형

"내 유튜브 수익, 소액인데 세금 신고해야 하나요?"
"애드센스에서 달러로 입금됐는데, 국세청은 알까요?"

2025년 기준, 유튜버 수익도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
수익이 적더라도 신고하지 않으면 가산세, 세무조사 대상이 될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유튜버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홈택스 신고법, 절세 포인트까지 싹 정리해드립니다.

목차

  • 유튜브 수익도 세금 내야 하나요?
  • 유튜버 신고 대상자 체크리스트
  • 신고 전 준비물
  •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 유튜버 절세 포인트 5가지
  • 자주 묻는 질문 (Q&A)
  • 신고 예시: 2024년 유튜브 수익 150만 원

유튜브 수익도 세금 내야 하나요?

정답은 “네”입니다.
유튜브 수익(애드센스 포함)은 ‘사업소득’ 또는 ‘기타소득’으로 분류됩니다.


수익규모 분류 설명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수익 사업소득 채널 운영, 광고 수익, 협찬 등
1회성 소액 수익 기타소득 단발성 업로드나 실험적 채널 운영 등

애드센스 수익은 외화라도 국세청이 추적 가능
→ 은행 입금 내역 + 지급처 정보로 자동 포착됨

 


유튜버 신고 대상자 체크리스트

  • 유튜브 채널에서 광고 수익(애드센스) 발생
  • 콘텐츠 제작 후 협찬, 제품 제공, 유료 리뷰 등 진행
  • 영상 제작비용 정산이 필요한 경우
  • 애드센스 외 슈퍼챗, 채널 멤버십, 후원 등 수익 보유

이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신고 대상입니다.


애드센스 수익 내역

신고 전 준비물

  • 애드센스 수익 내역 (Google 계정에서 확인 가능)
  • 은행 입출금 내역 (외화 환전 포함)
  • 필요경비 자료 (장비, 프로그램, 편집 외주비 등)
  • 공동인증서 + 홈택스 계정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① 홈택스( ww.hometax.go.kr )접속 → 로그인

② ‘종합소득세 신고’ 메뉴 클릭 → 정기 신고서 작성

③ 소득 유형: 사업소득 or 기타소득 선택

  • 반복 수익이라면 ‘사업소득’
  • 단발성 수익이면 ‘기타소득’

④ 수익금 입력 (애드센스 수익 등 합산)

⑤ 필요경비 입력

(예: 카메라, 조명, 편집 프로그램, BGM 저작권료, 외주비)

⑥ 세액공제 입력 후 신고 완료


장비 경비 처리 가능

유튜버 절세 포인트 5가지

  1. 장비·비품 구입비는 경비로 처리 가능
    → 카메라, 삼각대, 조명, 노트북 등
  2. 편집, 썸네일 외주 비용도 경비 처리 OK
    → 크몽, 탈잉, 프리랜서 작업 등 포함
  3. BGM, 폰트 구입비도 경비 인정
    → 유료 저작권 음원 플랫폼 사용 시 증빙 필수
  4. 전기료·통신비 일부도 인정 가능 (홈스튜디오일 경우)
  5. 초기 적자 시 손실 이월 가능 (다음 해와 상계 가능)

자주 묻는 질문 (Q&A)

Q. 유튜브 수익 1년에 50만 원도 안 되는데 신고해야 하나요?
A. 1회라도 수익이 발생했다면 신고 대상입니다. 다만 공제 후 환급 가능성도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

 

Q. 애드센스는 외화로 들어오는데 국세청도 알 수 있나요?
A. 네. 국내 은행으로 입금되면 환전 정보가 자동 보고됩니다.

 

Q. 협찬 제품도 과세 대상인가요?
A. 맞습니다. 제품을 무료로 받았다면 그 금액이 소득으로 인정됩니다.

 

Q. 사업자등록 없이 신고해도 되나요?
A. 네. 신고 자체는 가능하지만, 연 매출이 일정 이상이면 사업자 등록 권장됩니다.


신고 예시: 2024년 유튜브 수익 150만 원

구분 금액
총 수입 1,500,000원
필요경비 (장비, 구독료 등) 800,000원
과세표준 700,000원
세액 약 30,000원
공제 후 최종세액 0원 또는 환급 가능성 있음

유튜버 수익도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

수익 규모에 관계없이 신고는 필수!

홈택스를 통해 직접 신고할 수 있고, 경비를 잘 정리하면 환급도 가능합니다.

 

2025.04.01 - [종합소득세] - 유튜버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사업자 등록, 절세 팁)

반응형